JSON

Spring boot

[스프링 MVC] Part2 (서블릿)

서블릿에 대한 구현은 WAS가 처리한다. (개발자는 비즈니스 로직에 집중하면 된다) helloServlet ( request를 기반으로 서블릿 컨테이너가 request, response 객체가 생성 후 파라미터로 아래 메소드에 전달한다.) @WebServlet(name = "helloServlet", urlPatterns = "/hello") public class HelloServlet extends HttpServlet { //서블릿 메서드 호출시 서비스가 호출된다. @Override protected void service(HttpServletRequest req, HttpServletResponse resp) throws ServletException, IOException { System.out..

Spring boot

API 서버 구성과 JWT를 통한 인증, 인가

JSP, Thymeleaf: 서버에서 모든 데이터를 만들어서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SSR 방식 요즘은 이런 SSR 방식이 아닌, CSR(Client Side Rendering) 을 사용하고, 점차 하나의 단독적인 애플리케이션으로 동작하는 SPA(Single Page Application)의 형태로 변화 중이다. 따라서 최근의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XML, JSON 데이터를 제공하는 API 서버 방식이 주류이다. [API 서버] 요청받은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서버 데이터만을 전달함으로써, 클라이언트 영역이 어떻게 구현되는지 상관 없이 구현할 수 있고, 클라이언트에서 자유롭게 전달 받은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어 유동성이 좋다. 이번 글에선 JSON을 이용하는 API 서버의 구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 AP..

Spring boot

Spring Boot 컨트롤러와 Client간의 관계 정리

*이번 게시물은 다양한 블로그에서 소스를 가져왔습니다. 이번 글에선 Controller에서 사용되는 Get, Post 방식의 차이점과 @ModelAttribute, @ResponseBody, @RequestParam 과 같은 컨트롤러 영역에서 사용하는 어노테이션 그리고 컨트롤러 영역의 동작 과정 등에 대해 설명하며 Controller Client간의 교류에 대해 설명하겠다. 우선 Get 과 Post 방식의 근본적인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자. Get: 파라미터로 Model 사용. url로 정보가 노출된다. Post: RedirectAttribute로 Http의 Body에 정보가 숨겨져서 전달된다. 이번엔 컨트롤러에서 데이터를 전달받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 PathVariable Ex) Front 단..

코앤미
'JSON' 태그의 글 목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