![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98mFt%2FbtskaBBhXLl%2FsMdezjFnpgGIT9YLXX9Nj0%2Fimg.png)
Spring boot
스프링 핵심원리 7 [빈 후처리기]
https://codenme.tistory.com/113 스프링 핵심원리-고급편 5 [스프링에서의 프록시: beanFactory] https://codenme.tistory.com/111 스프링 핵심원리-고급편 4 [프록시 패턴과 데코레이터 패턴] https://codenme.tistory.com/108 스프링 핵심원리-고급편 3 [스프링 디자인 패턴] https://codenme.tistory.com/105 스프링 핵심 codenme.tistory.com 위의 글에서 이어지는 내용입니다. @Bean 이나 컴포넌트 스캔으로 스프링 빈을 등록하면, 스프링은 대상 객체를 생성하고 스프링 컨테이너 내부의 빈 저장소에 등록한다. 그리고 이후에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등록한 스프링 빈을 조회해서 사용하면 된다...